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
>> HTML, TEXT
>> IMAGE, 음성, 영상, 파일
>> JSON, XML(API)
>>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
>>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떄도 대부분 HTTP 사용
클라이언트 서버 구조
Request Response 구조
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 보내고 응답 대기
>>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
무상태 프로토콜, Stateless
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 x
>> 갑자기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 가능
응답 서버를 쉽게 바꾸기 가능
>> 무한한 서버 증설 가능
무상태로 설계할 수 있는 경우
>> 로그인이 필요 없는 단순한 서비스 소개 화면
설계할 수 없는 경우
>> 로그인
>> 로그인 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
>>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 등을 사용해 최소한의 상태 유지
비연결성(Connectionless)
HTTP는 기본이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
초 단위 이하의 빠른 속도 응답
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스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 처리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우 적음
>>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연속해서 검색 버튼을 누루지 않음
서버 자원 효율적 사용
한계와 극복
TCP/IP 연결을 새로 해야 함
>>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
웹 브라우저로 사이트 요청하면
>> HTML 뿐 아니라 자바스크립트, css, 추가 이미지 등 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
HTTP 지속 연결(Persistent Connections)로 해결
>> HTTP/2, HTTP/3에서 더 최적화
HTTP 메시지
출처 : 김영한,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
'HTT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/ HTTP 상태 코드 (0) | 2025.03.31 |
---|---|
HTTP / HTTP 메서드 활용 (0) | 2025.03.30 |
HTTP / HTTP 메서드 (0) | 2025.03.27 |
HTTP /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(0) | 2025.03.24 |
HTTP / 인터넷 네트워크 (0) | 2025.03.24 |